- 영양사 응시를 위해 이수해야하는 과목 (전체)
-
- 사용자정의1 영양사 응시과목(2015년 개정).hwp
- 사용자정의2 서울대학교_영양사응시관련 개설교과목 안내_2020년도 기준.hwp
- 사용자정의3 2010. 5. 23. 이후 입학자용 영양관련 교과목 이수증명서.hwp
- 날짜2018-01-22 14:10:41
- 조회수2609
파일 첨부합니다.
교과목 및 학점이수 기준(제7조제1항 관련) 다음 교과목 중 각 영역별 최소이수 과목(총 18과목) 및 학점(총 52학점) 이상을 전공과목(필수 또는 선택)으로 이수해야 한다. |
|||
영역 | 교과목 | 유사인정과목 | 최소이수 과목 및 학점 |
기초 | 생리학 | 인체생리학, 영양생리학 | 총 2과목 이상 (6학점 이상) |
생화학 | 영양생화학 | ||
공중보건학 | 환경위생학, 보건학 | ||
영양 | 기초영양학 | 영양학, 영양과 현대사회, 영양과 건강, 인체영양학 |
총 6과목 이상 (19학점 이상) |
고급영양학 | 영양화학, 고급인체영양학, 영양소 대사 |
||
생애주기 영양학 |
특수영양학, 생활주기영양학, 가족영양학, 영양과 (성장)발달 | ||
식사요법 | 식이요법, 질병과 식사요법 | ||
영양교육 | 영양상담, 영양교육 및 상담, 영양정보관리 및 상담 |
||
임상영양학 | 영양병리학 | ||
지역사회 영양학 |
보건영양학, 지역사회 영양 및 정책 |
||
영양판정 | 영양(상태)평가 | ||
식품 및 조리 |
식품학 | 식품과 현대사회, 식품재료학 |
총 5과목 이상 (14학점 이상) |
식품화학 | 고급식품학, 식품(영양)분석 | ||
식품 미생물학 |
발효식품학, 발효(미생물)학 | ||
식품가공 및 저장학 | 식품가공학, 식품저장학, 식품제조 및 관리 |
||
조리원리 | 한국음식연구, 외국음식연구, 한국조리, 서양조리 |
||
실험조리 | 조리과학, 실험조리 및 관능검사, 실험조리 및 식품평가, 실험조리 및 식품개발 |
||
급식 및 위생 |
단체급식 관리 |
급식관리, 다량조리, 외식산업과 다량조리 |
총 4과목 이상 (11학점 이상) |
급식경영학 | 급식경영 및 인사관리, 급식경영 및 회계, 급식경영 및 마케팅 전략 |
||
식생활관리 | 식생활계획, 식생활(과)문화, 식문화사 |
||
식품위생학 | 식품위생 및 (관계) 법규 | ||
식품위생 관계 법규 |
식품위생법규 | ||
실습 | 영양사 현장실습 |
영양사 실무 | 총 1과목 이상 (2학점 이상) |
비고: 1. 위의 교과목명이나 유사인정 과목명에 "∼ 및 실험", "∼ 및 실습", "∼ 실험", "∼실습", "∼학", "∼연습", "∼Ⅰ 과 Ⅱ", "∼관리", "∼개론"을 붙여도 해당 교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. 2. 위의 영양사 현장실습 교과목은 80시간 이상(2주 이상) 이수하여야 하며, 영양사가 배치된 집단급식소, 의료기관, 보건소 등에서 현장 실습하여야 한다. |